포스트

Case 1

Bethan May 케이스

  • 상악
    • 전치부 공간 폐쇄(5번까지) + rotation 살짝 적용했다.
    • 구치부(#6,7)가 lingual torque 되어 있다고 생각해서 buccal torque 주었다. -> 구치부는 x. 공간을 축소할 것(공간이 많다.) Buccal로 expansion하기 보다는 ㅣㅣ 이런 식으로 avoid가 아닌 arch로도 괜찮다.
    • 3 incisal만 배열 후 -> 3 incisal CR로 유지, power chain 걸어서 #5,6 #5,4 rotation 어느 정도 진행 -> 다시 전체 aligner 장착
      • #5 attachment 부착은 path에 방해만 되고, 때문에 이동량의 한계를 부여하여 갯수가 많아지고, 시간만 늘어날 뿐이다. 2년이 넘어가면 환자는 지치고, 그로 인한 투명교정에서의 성과는 기대하기 어렵다.
      • attachment를 부착하는 이유는 동그란 면에 사면을 부여하여 touch 면적에 의한 이동하는 힘을 얻기 위함인데, 이 환자의 케이스의 경우 오히려 #5 사이에 공간이 있어 aligner가 충분히 치아를 감쌀만한 면적을 지닌다. 때문에 path에 따른 block out만 필요한 케이스 환자다.
  • 하악
    • 양측 class3 환자라 4전치만 lingual로 당겼다. -> 전치부 overjet이 생김 -> 상악에 유리
    • 상하악 canine이 edge to edge로 과하게 물려서 하악 전치부 line을 lingual로 overjet 맞추면서 축소시켰다. -> 전치부 위치는 canine의 rotation 각도와 상하악 bite를 보고 치열궁 line을 어느 치아에 따를지 알 수 있다.

img

이 기사는 저작권자의 CC BY 4.0 라이센스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