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y 1
- 잇몸 성형(전치부)
- interdental papilla(치간유두)는 칼을 댄 순간 변형이 온다. 잇몸 성형과 같은 시술은 15번 blade c를 준비한다. 좀 더 낭창낭창하며 얇다.
- 오늘 케이스의 경우엔 15, 12번 기본 blade를 사용했다.
- round bur 제일 작은 것을 헥사메딘에 담가두고, 로우 핸드피스 물 나오는 것으로 준비.
- suture, flap open(뷰저, 9 Molt Periosteal Elevator, SURGICAL CURETTES(서지컬큐렛), 큐렛(해당 부위))
- 리트랙션 미러
- blade로 잇몸 절개 후에 temporay 제거
- OP
- 6번의 경우 직경 5를 사용, 드릴링 역시 5까지 진행하고 counter sink 드릴 사용
- 5번의 경우 long drill을 사용했다.
- 교정 photo
- 케이블 연결 후 교정 사진 바로가기 폴더에 복사 후 붙여넣기.
- 전체 사진이 선택된 후 해당 날짜를 기입(25.05.12)
- 격자 맞추기, 상하악 사진 뒤집기
- 사이드 사진의 경우 3번이 중앙으로 오도록, 반대 악궁의 1번까지 나오도록 한다.
- 교합의 경우 6번까지는 반드시 나와야한다.
- temporary
- 리퀴드 -> 파우더 순으로 양 조절하여 두번 휘젓고 바닥에 쳐준다.
- 어느 정도 기다린 후, 직사각형으로 반죽
- 해당 치아와 인접치, 대합치 부위에 바세린 도포
- 치아 형태에 따라서 컨투어 잡아주면서 찍는다.
- 굳기 전에 씨저로 불필요한 부위 자르기. 특히 컨택의 경우, 과잉 반죽이 있으면 탈착 시 걸리므로 불필요한 부위는 반드시 자른다.
- 탈착 후 완전히 굳기까지 기다리기
- 협측에 표시, 마진은 라인을 보며 찍힌 형태를 따라 자연스럽게 그려준다.
- 잡기 쉽도록 contact 과잉 부분 먼저 11자로 칠 것
- 마진을 따라서 \각도로 쳐낸다.
- 설측을 먼저 1자로 쳐준다.
- 협측은 치경 1/3이 최대풍융부다. 즉, 교합쪽으로 갈수록 덜 튀어나온 형태다.
블럭 만들어주기.
- 마지널 릿지 부분 역시 비스듬히 눕혀서 쳐준다. 마지널 릿지는 인접치와 이어져야 한다.
이 기사는 저작권자의 CC BY 4.0 라이센스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