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Linux] ETC

  • 마운트
    • 어떤 장치를 시스템에 연결하여 시스템에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 그 반대는 언마운트(unmount).
    • 장치에 접근할 수 있는 경로를 디렉토리 구조에 편입시키는 작업을 말하는데, 유닉스 계열에서 많이 사용하는 용어다.
    • 대표적으로 하드디스크나 ODD 같은 보조기억장치는 유닉스 계열의 OS에서 마치 하위 디렉토리의 하나인 것 처럼 편입되고, 이 디렉토리로 접근하면 해당 장치를 사용하게 된다.
    • 이 때문에 유닉스 계열의 OS에는 C,D 같은 드라이브 문자가 없고, 최상위 디렉토리인 루트 디렉토리는 시스템에 단 하나만 존재하게 된다.
  • 프로시저란
    • DB 에 대한 일련의 작업을 정리한 절차를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에 저장한 것이다.
    • 넓은 의미로 어떠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절차를 뜻한다.
  • GNU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
    • GNU GPL(General Public License)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FSF)에서 1989년에 만든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에 대한 라이선스 계약서라 할 수 있다.
    • 라이선스 지적 재산권의 이용 허락을 의미
  • nice 값 : 얼마나 친절(nice)하게 CPU를 양보를 하는가?

    img

    • 극단적으로 우선 순위가 굉장히 높거나, 기본 값(0)이거나 이 둘 중 하나로 많이 세팅 돼 있는 걸 볼 수 있다. 물론 이제 나이스 값은 되게 다채롭게 설정이 가능하다.
    • 프로세스가 일단 처음에 만들어지게 되면 0이 보통이라고 볼 수 있다.
    • -20의 경우, 우선 순위가 굉장히 높다. 프로세스마다 다르겠지만 그 중에서도 커널 프로세스와 같이 시스템을 좀 다뤄야 하는 중요한 프로세스들은 우선순위가 높은 경우들이 많다. 일반 프로세스는 0.
    • 영상 편집을 하거나 응용 레벨에서 나중에 해도 되는 프로세스의 경우, 나이스 값이 조금 높게 측정되기도 한다.
  • 프로세스 nice 값 확인하기 : top / htop 명령어

    1
    2
    3
    4
    5
    
      # top 출력 결과에서 NI 항목 확인하기. 시스템 정보와 프로세스 정보들을 볼 수 있다.
      $ top
        
      # htop 출력 결과에서 NI 항목 확인하기
      $ htop
    
1
ps -ef

img

  • 프로세스 전체 정보 추출 - 디스크 용량, 네트워크, 프로세스 개수, 코어 개수, 메모리

스크린샷 2024-11-05 오후 10.58.31.png

  • 파이프를 잡아서 워드 카운트 -엘을 보게 되면은 현재 프로세스가 헤더를 제외하고 나서 106개 정도가 있다.

img

img

  • 헤더 정보는 각각의 항목들을 뜻하게 된다. 이 각각의 항목들은 우리가 지정해 출력할 수 있다. PID, 나이스 값, 커맨드 이런 식으로도 출력할 수 있다.

img

  • 커맨드에 대한 부분을 단일하게 그 명령 그 자체만을 보여 주는게 아닌, 뒤에 보이는 옵션들까지 같이 보고싶을 때 args를 주면 볼 수가 있다. NI는 Nice의 줄임말

img

  • what is를 앞에 붙이면 명령어가 무엇인지 알 수 있다. 나이스는 우선순위를 조정하는 명령어임을 알 수가 있다. renice는 지금 실행 중인 프로세스를 기준으로 해서 실시간적으로 조정이 가능한 명령어다.


참고 자료


이 기사는 저작권자의 CC BY 4.0 라이센스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