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ear Aligner Technique Q&A
- 브라켓 교정과 sequential distalization으로 동일하다. 그러나 통째로 움직이고 싶을 경우 mini screw를 심어서 anchor 생성한다.(anchor가 없기 때문에)
골격적(skelectal?)<- 골격적(일반적) 두개골 상악골 하악골을 보는건(양악수술) 6번 3번 교합 위주로 보는 것은 치성(투명교정에 해당함)
심한 정도를 얘기할 때, 2-3mm, 5mm class 2라고도 하지만, half-cusp / 치아 반 개만큼 class 2라고도 한다. class 1인데 class2의 경향이 있을 경우, class 2 tendency가 있다.(애매한) 상악전돌 정도는~
- 발치 교정은 구치부 이동량이 많아진다. relapse(재발)<- 2/3일차 질문 내용과 연관?
- 치성보상치료를 통해서 class 1,2,3을 맞출 수 있다.
구치부까지 wire 고정, wraparround(retention이 높다.)
레진의 두께, 치아와 palatal에서 contact하고 있어 archform을 레진 자체가 유지시킨다. 구치부 Open(교합이 맞아질 수 있도록), 전치부 Close(root의 갯수가 워낙 적기에 이동 방지)
탈착의 역할
- adams clasp? : 탈착의 역할
- labial bow hawley retainer는 비발치 교정에서 많이 사용한다. 여기서 median screw가 추가되면 M-S expander라고 칭한다.
이 기사는 저작권자의 CC BY 4.0 라이센스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