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 config를 이용한 설정
Java Config를 이용한 설정 들어가기 전에 Java Config와 어노테이션을 이용해 스프링에서 사용하는 빈을 정의하고 DI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학습 목표 JavaConfig형태의 설정파일의 내용을 이해할 수 있다. @ComponentScan, @Component, @Autowired 어노테이션의 쓰임새...
Java Config를 이용한 설정 들어가기 전에 Java Config와 어노테이션을 이용해 스프링에서 사용하는 빈을 정의하고 DI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학습 목표 JavaConfig형태의 설정파일의 내용을 이해할 수 있다. @ComponentScan, @Component, @Autowired 어노테이션의 쓰임새...
xml파일을 이용한 설정(1) 들어가기 전에 Spring의 IoC / DI 컨테이너에 대한 동작을 확인하기 위해 Maven을 이용해 프로젝트를 생성한 후, XML 형식의 설정 파일을 만들어 IoC와 DI가 잘 동작하는지 확인해 보도록 한다. 학습 목표 Maven을 이용해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사용하는 프로젝트를 생성할 수 있다. ...
Spring Framework란? 스프링 프레임워크(Spring Framework)는 자바의 주요한 개발 프레임워크 중 하나이다. EJB의 복잡함을 해결하고자 만들어졌으며, 순수 자바 객체(POJO)를 사용하여 가벼운 코드로 엔터프라이즈 급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할 수 있는 가벼운 솔루션이자, One-Stop-Shop IoC 컨테이너이며...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81898 문제 풀이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arr, int idx) { for (int i = idx; i < arr.length; i++) { ...
자바 개요 자바(Java) 자바(Java)는 C++과는 달리 처음부터 객체 지향 언어로 개발된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또한, 자바는 자바 가상 머신(JVM)을 사용하여 어느 운영체제에서나 같은 형태로 실행될 수 있다. 현재 자바는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프로그래밍 언어 중 하나이다. 자바 기초 자바란? 자바(J...
다형성의 개념 다형성(polymorphism)이란? 다형성(polymorphism)이란 하나의 객체가 여러 가지 타입을 가질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자바에서는 이러한 다형성을 부모 클래스 타입의 참조 변수로 자식 클래스 타입의 인스턴스를 참조할 수 있도록 하여 구현하고 있다. 다형성은 상속, 추상화와 더불어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을 구...
상속의 개념 상속(inheritance)이란? 상속(inheritance)이란 기존의 클래스에 기능을 추가하거나 재정의하여 새로운 클래스를 정의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상속은 캡슐화, 추상화와 더불어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을 구성하는 중요한 특징 중 하나이다. 상속을 이용하면 기존에 정의되어 있는 클래스의 모든 필드와 메소드를 물려받...
패키지 패키지(package) 자바에서 패키지(package)란 클래스와 인터페이스의 집합을 의미한다. 이렇게 서로 관련이 있는 클래스나 인터페이스를 함께 묶음으로써 파일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협업 시 서로 작업한 클래스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름 충돌 문제까지도 패키지를 이용하면 피할 수 있다. 자바에서 ...
메소드의 개념 메소드(method) 자바에서 클래스는 멤버(member)로 속성을 표현하는 필드(field)와 기능을 표현하는 메소드(method)를 가진다. 그중에서 메소드(method)란 어떠한 특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문의 집합이라 할 수 있다. 메소드의 사용 목적 클래스에서 메소드를 작성하여 사용하는 이유는 ...
클래스의 개념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OOP, Object-Oriented Programming)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서는 모든 데이터를 객체(object)로 취급하며, 이러한 객체가 바로 프로그래밍의 중심이 된다. 객체(object)란 간단히 이야기하자면 실생활에서 우리가 인식할 수 있는 사물로 설명할 수 있다. 이러한 객체의 상태(...